청년내일저축계좌 만기 금액 정리 대표 이미지

청년도약계좌 만기 금액 | 소득 40 / 50 / 60 / 70 만 원

청년도약계좌 만기 금액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를 정해진 금액으로 꾸준하게 납부할 때 얼마를 만기 금액으로 받을 수 있는지 소득과 금액 별로 정리해 두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만기 금액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의 수준에 따라서 얻게되는 혜택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동일한 금액을 납입해도 소득에 따라 만기 금액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여기에서는 소득 수준을 기준으로 40만, 50만, 60만, 70만 원을 매월 납입 했을 경우의 5년 만기 금액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 글에서 보여드리는 청년도약계좌 만기 금액 계산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모두 받았을 경우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혜택을 덜 받는 경우에는 금액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소득별 정부기여금 차이

구간기여금
비율
최대
기여금
지급한도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6%24,000원40만 원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4.6%23,000원50만 원
총급여 4,800만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3.7%22,000원60만 원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3%21,000원70만 원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없음없음없음

청년도약계좌 만기 금액을 알아볼 때 중요한 것이 바로 정부기여금입니다. 기본 이자 이외에 본인이 납입할 때마다 그에 맞춰 정부 기여금이 함께 쌓여 이자 이상의 이득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위의 표에서 기여금 비율은 월 납입금에서 정부기여금을 지급하는 비율입니다. 소득이 높을 수록 적어지다가 총급여가 7,500만 원 이상이면 완전히 사라집니다.

최대 기여금은 월에 지급 받을 수 있는 기여금의 한도입니다. 즉 총 소득 2,400만 원으로 기여금비율 6%인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는 지급 한도인 40만 원을 매월 납부하면 최대 기여금을 받게 되고 그 이상을 내더라도 추가적인 기여금 적립은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을 가장 크게 받기 위해서는 무조건 많이 넣기보다 위의 표에서 보여드리는 소득별 지급한도를 맞춰 넣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여금이 전혀 없는 총소득 7,500만 원 이하의 경우에도 만기 이자소득 비과세는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청년도약계좌가 쓸모가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 소득별로 납입금에 대한 정부기여금 비율이 다름
  • 최대기여금이 정해져있어 매월 그 이상의 기여금을 적립 받을 수 없음
  • 지급한도 금액까지만 납입하면 최대기여금을 받을 수 있고 그 이상은 정부기여금이 늘지 않음
  • 기여금이 없어도 비과세혜택은 있음

청년도약계좌 소득별 최대 이자 차이

정부에서는 일괄적으로 6%의 이자가 지급되는 것으로 홍보하고 있지만, 실제로 청년도약계좌에서 최대 이자인 6%를 적용받는 것은 총급여 2,400만 원 이하의 청년에 한정됩니다.

총급여가 2,400만 원 이상인 청년은 소득 우대금리의 적용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최대 5.5%까지 이자를 적용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홍보 내용과 차이가 있다고 청년도약계좌가 매력이 없는 것은 아닌데요. 기본적인 이자도 시중은행의 상품보다 높은 편이고 추가로 정부기여금으로 월 최소 21,000원 이상을 추가로 받을 수 있고 여기에도 이자가 붙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이는 금리 이상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6% 이자의 적용은 총급여가 2,400만 원 이하인 경우에 한정
  • 나머지는 최대 5.5% 이자를 받을 수 있음
  • 정부기여금이 있기 때문에 실제 혜택은 그보다 더 많음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청년도약계좌 만기 금액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총급여 2,400만 원 이하의 청년의 기여금의 한도는 24,000원이며 기여금 비율은 6%입니다. 따라서 해당하는 청년의 경우 매월 40만 원만 납부하면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을 최대로 볼 수 있습니다.

월 납입
납부 총액
(단위:만원)
이자총액
(단위:만원)
정부기여금
(이자 포함)
(단위:만원)
총수령액
(단위:만원)
40만원2,4003601602,920
50만원3,0004501603,610
60만원3,6005401604,300
70만원4,2006401605,000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청년도약계좌 만기 금액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총급여가 3,600만 원 이하의 경우 기여금 한도는 23,000원, 기여금 비율은 4.6%입니다. 월 50만 원을 납입하는 경우에 최대기여금을 받고 혜택을 가장 높게 받습니다.

월 납입
납부 총액
(단위:만원)
이자총액
(단위:만원)
정부기여금
(이자 포함)
(단위:만원)
총수령액
(단위:만원)
40만원2,4003351302,865
50만원3,0004191573,576
60만원3,6005031574,260
70만원4,2005871574,944

총급여 4,800만원 이하 청년도약계좌 만기 금액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총급여 4,800만 원 이하에서는 기여금 비율이 3.7%입니다. 최대 기여금은 22,000원이죠. 따라서 월 60만 원을 납입하는 것이 가장 가성비가 좋습니다.

월 납입
납부 총액
(단위:만원)
이자총액
(단위:만원)
정부기여금
(이자 포함)
(단위:만원)
총수령액
(단위:만원)
40만원2,4003551092,844
50만원3,0004191363,555
60만원3,6005031514,254
70만원4,2005871524,939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청년도약계좌 만기 금액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총급여 6,000만 원 이하의 구간은 3%의 기여금 비율로 최대 21,000원의 기여금을 매월 적립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액은 매월 70만 원 입니다.

월 납입
납부 총액
(단위:만원)
이자총액
(단위:만원)
정부기여금
(이자 포함)
(단위:만원)
총수령액
(단위:만원)
40만원2,400335922,827
50만원3,0004191153,534
60만원3,6005031444,247
70만원4,2005871434,930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청년도약계좌 만기 금액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총급여 7,500만 원 이하의 구간은 정부기여금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도 여전히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중 은행의 동일 금리 상품보다 더 매력적입니다. 5.5%의 금리를 제공하는 시중 적금은 거의 없어서 금리 자체도 좋은 편입니다.

월 납입
납부 총액
(단위:만원)
이자총액
(단위:만원)
정부기여금
(이자 포함)
(단위:만원)
총수령액
(단위:만원)
40만원2,40033502,735
50만원3,00041903,419
60만원3,60050304,103
70만원4,20058704,787

추가적으로 정부기여금이 없는 7,500만 원 이하의 구간은 상대적으로 다른 경우보다 중도 해지에 대한 부담이 적습니다. 2024년 변경되 청년도약계좌 운영 방침에 따르면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지 않아도 3년 이상 납입을 한 경우라면 비과세 혜택을 받고, 정부기여금을 60% 정도만 받으면서 해지가 가능합니다.

총소득 7,500만 원 이하의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는 어차피 정부기여금을 받지 않기 때문에 3년까지만 비과세의 고금리 적금이라고 생각하고 청년도약계좌를 유지한 다음 해지해도 아무런 문제 없이 처음에 의도한 혜택을 다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만기 금액을 살펴보았는데요.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에 따라서 정부기여금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잘 확인해보고 본인의 상황에 맞는 금액을 납입하고 최대 혜택을 보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는 이 외에도 다양한 금융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니 사이트를 확인해 보셔도 좋겠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
목차